-
“이게 (이게) 나이롱 고기예요. 먹어요. 나이롱 고기가 뭔지 모르시잖아요. 모리나(모르나) 곰치를 곰치로 말리면 나이롱 고기예요. 요즘은 곰치가 없어요. 나이롱고기도 없어요. 한경이에요, 아시죠? 두 번째 미경이는 남해에 있는 섬에 살고 있어요. 펜션을 해봐요. 가가(그가) 거서(거기)를 데리고 집에 보냈는데 엄마가 (그거) 못 먹어요.
그래서 가주오라(가져라) 그랬어요. 다싯물 다 뜯어서 (조리) 쪼아먹고 엄마들이 한 번 먹어보니까 (전부) 달부지.... 맛있어요.여기(여기) 여자들은 나이롱고기를 모르고 있어요. 그래, 처음 먹어봤어. 오, 이런, 뭐가 좋은지, 그리고 전 모든 걸 다 먹었어요. 미경이가 나이롱 고기를 보내주면, 아소(여기 있어요), 이라더만은 인제 고마움을 주지 않을 거예요. 제가 쪼아먹는 걸 가르쳐 주셨고, 인제 지가 그렇게 해요. 개(괜찮아)가 가르쳐줘서 죽을 거예요.
고마워요. 그래서 마지막이예요. "거까시(가시)가 많잖아요. 잘 보고 발라 먹어요. 까시가 많잖아요. (많은 것) 왜 안 먹어요. 아, 아, 인제 나이롱 고기가 없잖아요. 여분의 건 없어요. 곰치가 없어요. 이 간나가(딸) 진짜예요. 왜 안 믿겠어요?”포항에서 40년 이상 산 엄마지만, 강원도에서 여전히 방언을 하고 강원도에서 음식을 먹습니다. 곰치는 강원도에서 가장 흔한 것입니다. 어시장 바닥에 흩어져 있는 곰치를 처음 봤을 때, 저는 제가 이렇게 못생긴 물고기를 먹었다고 말했어요.